Fast_Java 13

FC_ch16 - SwitchCaseTest & SwitchCaseTest2 & SwitchCaseTest2_Test(응용) & SwitchCaseUpTest

package ch16; import java.util.Scanner; public class SwitchCase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한달이 몇일인지 알려주는 프로그램 구현 Scanner scanner = new Scanner(System.in); //숫자를 입력받기 위해 스캐너 사용 System.out.println("월을 입력하라"); int month = scanner.nextInt(); //월을 정수로 입력 받기 int day; //몇일인지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변수 switch(month) { case 1: case 3: case 5: case 7: case 8: case 10: case 12: //같은 일수 끼리 한줄에 작성..

FC_ch15 - IfIfTest & IfElseIfTest & IfElseIfElseTest_Test(응용)

package ch15; public class IfIf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age = 12; int charge; if(age < 8) { charge = 1000; System.out.println("미취학 아동"); } if(age < 14) { System.out.println("초등생"); } if(age < 20) { charge = 2500; System.out.println("중학생, 고등학생"); } else { charge = 3000; } System.out.println("입장료 : " + charge + "원"); } } package ch15; public class IfElseIfTest { public s..

FC_ch13 - ConitionTest & BitOperationTest

package ch13; import java.util.Scanner; public class Conition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max; System.out.println("두 수를 입력 받아서 더 큰 수를 출력하라!"); Scanner scanner = new Scanner(System.in); // Scanner 객체 생성 int num1 = scanner.nextInt(); //스캐너를 이용하여 정수를 받는 방법(한글x) System.out.println("입력 1 : "); int num2 = scanner.nextInt(); System.out.println("입력 2 : "); max = (num1 > num2) ? nu..

FC_ch12 - LogicalTest

package ch12; public class Logical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num1 = 10; int i = 2; boolean value = ((num1 = num1 + 10) > 10) && ((i = i + 2) < 10); //boolean value1 = ((num1 = num1 + 10) < 10) || ((i = i + 2) < 10); /* - 논리 곱(&&)은 두 항의 결과가 모두 true일 때만 결과가 true 앞의 항의 결과가 false이면 뒤 항의 결과를 평가하지 않음 - 논리 합(||)은 두 항의 결과가 모두 false일 때만 결과가 false 앞의 항의 결과가 true이면 뒤 항의 결과를 평가하지 않음..

FC_ch10 - ContantTest & TypeConversionTest

package ch10; public class Contant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* - 상수 : 변하지 않는 수 ex)원주율 3.14, 1년 12개월 등... - final(마지막이라는 의미) 예약어를 사용해서 선언한다. - 상수를 사용하면 변하지 않는 값을 반복해서 쓸때 의미있는 문자로 인식하기 쉬우며, 혹여나 변하더라도 선언한 부분만 변경해주면 되므로 여러 부분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. */ final int MAX_NUM = 100; final int MIN_NUM; /* 상수의 경우 다른 변수들과는 차별화를 하기 위해 대문자로 선언을 주로 하며, 긴 경우 _를 사용하여 표현한다. */ MIN_NUM = 0; //MAX_NUM = 2..

FC_ch09 - BooleanTest & LocalVariableInter - 지역변수 자료형없이 사용하기

package ch09; public class LocalVariableInter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var i = 10; //타입 var는 variable의 약자이며, 변수 i는 정수형(int)이이라는것을 추론할 수 있다. var j = 10.0; //j는 실수형(double)로 추론가능 var str = "test"; //str은 "test"라는 문자열이 들어가겠구나 하고 추론가능 System.out.println(i); System.out.println(j); System.out.println(str); var str2 = str; /* 위에서 str변수에 test라는 값을 대입하였으므로 str2의 값도 test가 된다. */ System.o..

FC_ch08 - CharaterTest

package ch08; public class Charater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char ch1 = 'A'; System.out.println(ch1); System.out.println((int)ch1); //아스키코드로 A는 65 /* 'A'가 65로 바뀌는 과정은 인코딩, 65가 A로 바뀌는 과정을 디코딩 이라고 한다. */ char ch2 = 66; /* - char라는 자료형은 내부적으로 2byte를 사용하며, 해당되는 코드값(정수값)을 갖고 있다. - 음수는 사용불가, 양수만 사용가능 */ System.out.println(ch2); System.out.println((char)ch2); //해당 경우는 캐스팅이 의미가 없음 ..

FC_ch07 - DoubleTest

package ch07; public class Double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double dnum = 3.14; float fnum = 3.14F; /* 실수는 정수와 다르게 기본적으로 8byte(double) 공간안에 데이터가 잡히기 때문에 float(4byte)형으로 선언시 선언값 뒤에 3.14F 라고 적어줘야 4byte 공간에 데이터를 잡을 수 있다. (F는 소문자로 적어줘도 상관없다.) */ System.out.println(dnum); System.out.println(fnum); } }